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4

Postman : HTTP responsebody를 parsing하여 연속된 Request의 parameter로 사용하기 Postman은 HTTP Protocol을 사용하는 API Server를 테스트할 때 자주 사용하게 된다. 특히 단일 API로 서비스가 끝나지 않고, 연속된 API를 호출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때 이전 Response Body에서 특정 key.value의 값을 추출하여 다음 Request의 url 또는 parameter value로 넘겨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API를 호출할 때 마다 이전 Response Body에서 응답값을 Copy하여 다음 Request에 Paste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Postman에서는 "Tests" 라는 메뉴를 통해 Script 작성 기능을 제공한다. 더 자세한 기능 및 예제는 Postman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2021. 7. 11.
(스크랩) Git gist를 이용한 티스토리 블로그에 코드 넣기 https://databonanza.tistory.com/19 [티스토리] Git gist를 이용한 티스토리 블로그에 코드 넣기 티스토리에서는 훌륭한 코드 블럭이 있다. 하지만, github에 있는 코드를 Gist라는 기능을 이용해 티스토리 블로그에 코드를 넣을 수 있다. - 예시: 2021/01/06 - [시각화] - [시각화] 위키피디아를 이 databonanza.tistory.com 2021. 7. 10.
(스크랩) logstash-output-jdbc ( timestamp value를 INSERT 문에서 CAST 하기 ) 스크랩 원본 : https://www.rubydoc.info/gems/logstash-output-jdbc/0.1.4 File: README — Documentation for logstash-output-jdbc (0.1.4) logstash-output-jdbc This plugin is provided as an external plugin and is not part of the Logstash project. This plugin allows you to output to SQL databases, using JDBC adapters. See below for tested adapters, and example configurations. This has not yet www.rubydoc.in.. 2021. 6. 4.
ELK : Filebeat + ES(ElasticSearch) + Kibana 로그 수집 시스템 구축하기(with Docker) 구축 배경 SW QA Engineer로 업무를 하다보면 검증 대상 SW와의 연동 시험 환경 구축을 위해 오픈 소스를 활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번에 로그 모니터링 솔루션을 신규 도입하기로 하였는데, 모니터링 서버와 GUI Admin은 자체 솔루션으로 개발하고 로그 수집은 ELK를 활용하기로 결정되어 미리 사용법을 익혀 볼겸 간단히 구성해 보기로 하였다. 예전에 LogStash(input: mysql) + ES + Grafana 조합으로 서비스 모니터링(Counter, Graph) 시스템을 구성해 본 적은 있었는데, 그 당시에는 주변에서 Kibana 보다는 Grafana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였다. 이번에도 frontend는 직접 개발하기로 하여 Kibana를 사용하지는 않게 되었으나 frontend가 .. 2021.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