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ngineering109 [tcpdump] 덤프 파일 사이즈가 커서 wireshark로 열리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pcap 파일 분할하여 저장하기 개요 제품 검증을 하다보면 tcpdump 를 사용하여 network packet을 캡쳐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과 확인을 하는 등에 활용하곤 한다. 최근 담당했던 제품에 request / response packet size가 워낙 크다보니 1개의 Transaction 으로 발생되는 packet만 캡쳐해도 1GB 가 훌쩍 넘게 되었다. 이렇게 1GB가 넘는 파일을 wireshark로 열면 아래와 같은 에러 팝업을 마주할수 있으며, 초반 256MB(wireshark 기본 설정값인 것 같다)를 넘어서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다. 이 기본 크기를 늘리는 방법은 아직 찾지 못하였다.. error message : The capture file appears to be damaged or corrupt. (.. 2024. 1. 10. [chattr] 파일 속성 제어하기 (파일 삭제 불가하도록 file lock) 파일 삭제 동작에 대한 검증을 하다보면 file I/O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Exception 처리가 잘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chattr +i 파일명 command를 사용하여 파일을 삭제하지 못하도록 설정한 후 Exception 처리를 확인하였다. chattr command를 사용해본 경험이 적다보니 익숙해지지 않아(거의 TestCase에서 Copy&Paste로 사용하고 있음) 좀 더 검색을 해보았다. chattr 파일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linux command ch(change) + attr(attribute) 로 기억하면 되고,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lsattr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linux man page : https://linux.die.net/m.. 2024. 1. 8. [orthanc] MaximumStorageSize로 ORTHANC PACS 저장 용량 제한 사전 참고 : https://jinane.tistory.com/26 또는 https://jinane.tistory.com/12 (위 2개의 링크에 orthanc PACS를 docker container로 실행하기 위한 base configuration 포함) orthanc PACS에 신규 DICOM을 지속적으로 입수한 후 Product 에서 Query/Retrieve 를 하는 시나리오를 2~3주 이상동안 무한 반복하는 시나리오로 안정성 테스트를 하게 되었다. orthanc PACS를 실행해 둔 서버에는 모니터링 수집을 위한 프로그램도 실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물리적인 시스템 용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에 아래의 설정 중 MaximumStorageSize 옵션을 설정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ort.. 2023. 12. 18. (linux) dd command - 지정한 크기의 임의의 파일 생성 시스템 가용 공간 Limit 용량을 기반으로 파일 삭제 또는 파일 입수 제한 등의 기능을 좀 더 효율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용량의 파일을 생성 및 삭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 존재하는 파일을 copy하는 형태로도 가능하지만, copy 되는 파일의 용량을 정확하게 생성하거나 제어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테스트 환경 사전 조건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d if=/dev/zero of=3gb.txt bs=1M count=3072 if=/dev/zero :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 파일 of=3gb.txt : 생성하려는 파일명 bs=1M : 한 번에 읽고 쓰는 BYTES 단위 count=3072 : count 수 만큼의 block이 복사 됨 -> /d.. 2023. 12. 18. [Tip] jmx(jmeter) 또는 shell script 작성 시, OS(linux, mac)에 따라 command root path가 달라지는 것을 해결 하려면? 테스트 시나리오의 일부를 jmeter와 shell script를 활용하여 자동화 스크립트를 작성/실행 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불편함이 발생되었고, library의 root path를 쉽게 변경 또는 모두 추가하는 방식으로 하여 좀 더 스크립트 관리 및 실행 편의성을 높일 수 있었던 사례이다. jmeter나 shell script를 많이 작성해 본 경우라면 너무 쉬운 내용일 수 있으나 초심자도 있을 수 있으니 간단히 적어 본다. Jmeter : jmeter를 수정하며 단위 테스트를 해보는 환경은 macbook 이지만,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실행하게될 환경은 linux(ubuntu)임 jmeter 시나리오에는 REST API를 호출하거나 dcmtk command를 호출하거나, shell .. 2023. 12. 11. 이전 1 2 3 4 5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