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ngineering/OS -Linux, Windows, EXSi34

[Windows] 가상 윈도우 샌드박스(Sandbox) 설치하기 최근 검증 대상 컴포넌트 중에 윈도우 환경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었다. 개발 중인 버전과 이전 배포 버전을 오며가며 기능 확인(결과 비교 등)을 해야하는 상황인데, 회사 옆팀 팀장님이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설치 테스트 할 때 샌드박스라고 있는데 활용하면 유용할 것 같다고 팁을 주셨다. 마침 그날 팀원 분이 업무 중, 신규 개발 버전에서 어떤 이슈가 발생한다고 하여 함께 리뷰를 하다가 이전 배포 버전에서도 동일한 이슈가 발생하는지 확인을 해보기로 했다. 확인을 하려면 현재 설치된 버전을 삭제하고, 이전 배포 버전을 다시 설치하여 재현을 해야하는 상황이었다.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볼 수 있는 특수한 전용 모니터가 한개 뿐이라...ㅜㅜ) 그 때 샌드박스가 생각나서 부랴부랴 설치하여 시도를 해봤는.. 2023. 7. 8.
[linux][docker] auto-completion 설치로 docker command 자동완성 사용하기 linux OS의 경우 command 작성 시 대부분 기본적으로 bash auto completion이 설치된 상태라 명령어의 앞 부분만 타이핑 후 TAB 키를 활용하여 나머지 명령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docker 기반의 application을 주로 사용하고, docker command를 사용해야할 때 auto completion이 설치되지 않은 상황이 종종 있었는데, 이런 경우 docker에 명령어 자동 완성 기능을 아래와 같이 설치하면 너무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container name 또한 앞 부분 일부만 타이핑하면 목록 중 앞 부분이 일치하는 것들만 참고하여 자동완성이 가능하다.) 아래 명령어는 Ubuntu 기반이다. (실제 실행 확인 OS : Ubuntu .. 2023. 5. 31.
[linux] touch command로 파일 시간 변경하기 touch command로 보통 filesize가 0인 file을 생성하는데 많이 사용하지만, -t 옵션을 함께 사용하면 특정 파일의 생성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실제 파일 생성 시간을 기준으로 삭제 로직을 구현하는 경우, 테스트 데이터를 셋팅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곤 한다. filesize 0 으로 파일 생성하기 # touch {파일명} touch filesize0 file 생성 날짜를 특정하여 파일 생성하기 # touch -t YYYYMMDDHHmm {파일명} touch -t 202305280000 file202305280000 2023. 5. 29.
[linux] sudo bash 입력 시, password 다시 안 묻기 root 계정으로 linux에 접속을 하고 sudo bash 입력 시 password를 다시 묻는 과정이 너무 불편하여 찾아보고 적용한 내용을 기록한다. 참고로 centos7 / ubuntu 20.04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etc/sudoers 파일을 열어서 파일 맨 아래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하면 된다. (참고로 해당 linux 서버의 root 계정 이름은 jinakim 이다.) jinakim ALL=NOPASSWD: ALL 하지만! 그냥 편집을 하려고 파일 수정 후 저장을 하려면 read-only 파일이라 저장이 되지 않는다는 경고 문구가 출력되며 저장이 안된다. /etc/sudoers 파일은 read-only 권한이 기본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쓰기 .. 2023. 5. 21.
[mac OS] iterm에서 config에 등록된 alias name으로 ssh 접속하기 (~/.ssh/config & ssh-copy-id) % vi ~/.ssh/config 명령어로 파일에 alias name과 접속 hostname, user 등록 % cat ~/.ssh/config host vm1 hostname 10.120.201.1 user jinakim host vm2 hostname 10.120.201.2 user jinakim % ssh vm1 명령어로 config에 등록한 서버로 ssh 접속하기 % ssh vm1 % ssh-copy-id vm1 명령어로 host 마다 password 입력하여 매번 접속할 때마다 password 입력하지 않고 접속 가능하게 하기 % ssh-copy-id vm1 jinakim@10.120.201.1's password: {password 입력} (2024.03.18 내용 업데이트) 만약 pem 키 .. 2023.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