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ngineering/OS -Linux, Windows, EXSi34

vim, vi 편집기 사용 꿀팁 - 특정 입력 pattern을 반복해서 입력하기 ESC를 누른 비편집모드 상태에서 (1) 편집모드 시작(i) (2) 문자 혹은 엔터 등을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 (3) ESC로 편집모드 종료 (4) 숫자(N) + 마침표(.)를 누르면 위 (2)번에서 입력한(=직전 편집모드에서 작성한) 문자열이 숫자(N)만큼 반복 입력됨 2022. 6. 13.
vim, vi 편집기 사용 꿀팁 - 동일 Line에서 특정 문자 기준으로 N번째로 이동하기 숫자N + f (뒤) + 특정문자 // 커서가 위치한 Line에서 커서 위치부터 이후 N번째 특정문자로 이동 숫자N + F (앞) + 특정문자 // 커서가 위치한 Line에서 커서 위치부터 이전 N번째 특정문자로 이동 10f, : 커서 위치부터 10번째 콤마(,) 위치로 이동 (forward) 20f[ : 커서 위치부터 20번째 [ 위치로 이동 30fi : 커서 위치부터 30번째 i 위치로 이동 10F, : 커서 위치부터 10번째 콤마(,) 전 위치로 이동 (back) 2022. 6. 13.
(windows) Telnet 프로그램 활성화하기 기본 Windows 환경에서는 Telnet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Telnet의 경우, 원격지 서버에 특정 Port로 Connection 테스트를 하기 위해 활용하기 편리할 때가 있어 종종 사용하게 된다. Windows 에서 Telnet 활성화 하기 (1) Telnet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곳인지 확인 telnet (2) Telnet 설치 명령 프롬프트(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열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telnet 서비스 활성화 하기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TelnetClient (3) Telnet 설치 완료 확인 telnet ** 빠져나오려면 "quit" 를 입력 Telnet 으로 원격지 Host:Port 로 Conn.. 2022. 6. 2.
(windows) Telegraf : Windows Application(Process) Memory Monitoring 팀에서 Telegraf + Influx DB + Grafana 조합으로 Linux Docker Container Monitoring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에는 Docker Container 형태로 배포되는 Application만 모니터링 하다가 Windows Native Application 을 모니터링에 추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Windows 환경에서 Telegraf 설치 및 모니터링을 위한 Config Setting을 해본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Post에서 Influx DB와 Grafana 설치는 생략한다. (필자의 경우 기존 Influx DB와 Grafana가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 지표만 추가하는 상황이어기 때문) Influx DB와 Grafana 초기 설치 및 .. 2022. 5. 6.
tmux : linux에서 실행중인 terminal 세션 분리 linux 머신에서 테스트 진행 시, 일부 application을 실행한 채 터미널이 강제종료(network 등..)되면 종료 전 실행해 둔 application 또한 강제 종료가 된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tmux로 신규 터미널 세션을 생성, 해당 세션에서 application 실행 후 세션을 유지한 채 빠져나오면 언제든 다시 동일 세션으로 들어갈 수 있다. 테스트 시나리오 중, 많은 데이터를 읽어들여 결과를 뽑아내는 스크립트를 작성한 것이 있는데 application 실행 환경에 따라 2~3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그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는 실행 중 세션 종료 방지를 위해 tmux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자주 진행하지 않다보니 tmux 세션 생성 및 진입 옵션을 자주 잊어버린다; 필요할 때마다 .. 2022. 4.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