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4

dcm4che toolkit으로 HL7 전송 테스트 (hl7snd / hl7rcv) 평소 DIMSE protocol로 dicom을 주고 받는 테스트를 하기 위해 dcmtk 를 사용하고 있는데, HL7 message를 송/수신 테스트가 필요하여 툴을 알아 보았다. 이전까지 HL7 메세지 수신 테스트는 다른 팀 분이 소개해 준 HL7 SOUP 이라는 유료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은 윈도우용만 제공 되었고, 자동화를 고민하는 중이라 리눅스에서 실행 가능한 HL7 Receiver가 필요하여 검색을 하였다. dcm4che toolkit 에서 dicom toolkit 외에 hl7을 위한 toolkit도 제공하고 있어 간단히 테스트를 해보았다. 우선 dcm4che의 경우 dcmtk와 달리 java 기반이라 실행을 위해서는 java 1.6 이상이 설치된 환경에서.. 2023. 4. 24.
[spreadsheet] UNIQUE Function (+ 공백 제거 FILTER Function) 아래와 같은 "TestCase" Sheet가 있고, 해당 TestCase의 Summary에서 메뉴1, 메뉴2의 Unique한 List를 추출하는 함수 예제를 알아보자. (1) 메뉴1 UNIQUE =UNIQUE(TestCase!A2:$A) (2) 메뉴1 UNIQUE + 공백 제거 =UNIQUE(FILTER(TestCase!A2:$A,TestCase!A2:$A"")) (3) 메뉴1, 메뉴2 UNIQUE =UNIQUE(TestCase!$A2:$B) (4) 메뉴1, 메뉴2 UNIQUE + 공백 제거 =UNIQUE(FILTER(TestCase!$A2:$B,TestCase!$A2:$A"",TestCase!$B2:$B"")) 위, 함수 결과는 각각 아래와 같다. 2023. 4. 17.
[prometheus] system 모니터링을 위해 Node-Exporter 설치하기 목표 : Host System의 기본 metric 수집을 위해 Node Exporter를 설치하고 Grafana에 Dashboard를 추가해보자. 참고 : Node Exporter는 모니터링을 하고자하는 System 들에 설치를 하면 되고, Prometheus는 별도의 모니터링 전용 서버에 설치를 하면 된다. (물론 단일 System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같은 System에 설치해도 된다.) Prometheus는 데이터 수집 방식이 Pulling 방식이기 때문에 Logstash나 Telegraf처럼 Pushing 방식보다 모니터링 서버 장애가 미치는 영향도가 적은 편이다. 간단한 key-value 형태의 메트릭을 기반으로 집계 및 저장 기능을 갖추고 있다. Pulling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니.. 2023. 3. 27.
[confluence][macro] diagram (plantuml 이미지 생성) confluence 에서 diagram macro를 사용하면 plantuml 로 작성한 text를 입력하여 diagram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매크로 메뉴에서 diagram을 입력해도 되고, 본문에 /diagram 을 입력하여 macro를 선택해도 된다. 매크로 수정 페이지에서 Select a syntax 드롭다운 메뉴를 선택하여 PlantUML 을 선택한다. "Insert text" 입력 박스에 plantuml로 작성한 text를 붙여 넣는다. (https://jinane.tistory.com/18 포스트에서 작성했던 text를 붙여넣어 보자.) 매크로에서 Insert -> 페이지를 저장하고 포스트를 확인해보자. * 아래 캡쳐는 Confluence 페이지에 macro를 통해 출력된 Diagram이.. 2023. 3. 17.
[Grafana] Jmeter 실행 중 Grafana로 결과 모니터링 (미완료) Jmeter로 안정성 시험을 계획 중인데, 장기간 Jmeter를 실행하려면 GUI 모드가 아닌 Command를 통해 실행을 하는 형태로 사용을 하게 된다. GUI 모드로 장기간 실행을 하게 되면 Jmeter GUI가 사용하는 자체 메모리 누적 사용량이 높아지면서 client tool의 성능이 시험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Command로 실행을 하게 되면 시험을 완료하기 전 중간중간 시험 진행 상황을 바로바로 GUI 모드처럼 모니터링을 하기 수월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니 Grafana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어서 따라해 보았다. Jmeter - InfluxDB - Grafana 구성으로 진행하면 되고, 아.. 2023. 3. 13.
[spreadsheet] 그룹화(group rows) 전체 접기/펴기 1. 그룹화 하기 그룹화 할 때 주의사항은, 전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그룹의 대표 행(row)을 남겨두고 접히는 부분만 선택할 것! 완성!! 2. 전체 접기/펴기 엑셀에는 좌측 상단에 그룹 depth 별로 숫자가 써있어서 그 숫자를 누르면 되었던 것 같은데.. 스프레드 시트에는 그게 없었다. 혹시 몰라 좌측 상단에서 우클릭을 해보니 메뉴가 있었네! 직관적이진 않았지만... 없는 것 보단 나으니!! 2023. 3. 6.
[mac OS] iterm에서 config에 등록된 alias name으로 ssh 접속하기 (~/.ssh/config & ssh-copy-id) % vi ~/.ssh/config 명령어로 파일에 alias name과 접속 hostname, user 등록 % cat ~/.ssh/config host vm1 hostname 10.120.201.1 user jinakim host vm2 hostname 10.120.201.2 user jinakim % ssh vm1 명령어로 config에 등록한 서버로 ssh 접속하기 % ssh vm1 % ssh-copy-id vm1 명령어로 host 마다 password 입력하여 매번 접속할 때마다 password 입력하지 않고 접속 가능하게 하기 % ssh-copy-id vm1 jinakim@10.120.201.1's password: {password 입력} (2024.03.18 내용 업데이트) 만약 pem 키 .. 2023. 2. 26.
[Weasis] Import dicom from PACS (dicom-web) in weasis viewer (with ORTHANC PACS) 환경 구성 PC #1 : Mac OS (or Windows) Weasis Viewer Version : 4.0.2 PC #2 : Linux OS (or ..) PACS Info : ORTHANC PACS (http://10.120.201.1:8042/dicom-web) docker image : jodogne/orthanc-plugins:1.9.6 configuration : orthanc.json : "Plugins" (/usr/local/share/orthanc/plugins/libOrthancDicomWeb.so) "DicomWeb" { "Name": "Orthanc inside Docker", ... "Plugins": ["/usr/share/orthanc/plugins", "/usr/local/.. 2023. 2. 6.
[MacOS] 화면 캡쳐 단축키 Windows OS를 사용할 때 가장 자주 활용하는 기능 중에 하나가 "캡처 도구" 기능이었다. 캡처 도구 앱을 실행하여 원하는 영역을 (1) 자유롭게 드래그하여 캡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 바로 ctrl + v로 붙여 넣기도 가능하고 (3) 붙여 넣기 전에 캡쳐 화면에 추가 표시(특정 영역에 표시)하기에 너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Mac OS를 사용하게 되면서 Windows 대비 크게 불편하게 느껴졌던 부분 중에 하나였다. Mac OS에서는 (1)+(2)+(3)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은 없는 것 같고(있을 수도 있으나 모름;;), 그래도 다행히 (1)+(2) / (1)+(3) 조합으로 사용 가능한 단축키가 각각 있어서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잊어버릴 테니 가볍게 정리해 본다. (단축키 출처는 .. 2023. 2. 3.
[confluence][macro] 확대(expand) confluence를 한국어 모드로 사용을 하고 있다. 문서를 작성할 때, 가독성을 위해 일부 영역의 데이터를 접었다 펼쳤다 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한국어 모드로 사용할 때 매크로에 "펼치기" 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펼치기의 영문명은 모르겠다;; 펼치기를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문제는 표 안에서 펼치기를 사용하려면 표 밖에서만 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펼치기를 사용하여 접기 영역을 생성하여 출판한 후, 다시 편집 모드에서 해당 접기 영역을 표 안으로 붙여 넣어야 하는 수고로움이 발생하였다. 그러던 중 영문 모드로 사용하던 동료분이 /expand 매크로 이름으로 표 안에서 바로 펼치기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한국어 명칭으로 /expand 가 무엇일지 물어보았더니 "펼치.. 2023. 1. 29.
반응형